Skip to main content
공연개요 Overview

“나는 이 세계 어딘가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신, 듣고 계신가요?
나는 이 세상 어딘가, 행복과 환대, 사랑으로 가득 찬 어떤 곳에서 왔습니다.”

우리는 또 다른 세계, 그동안 절대 기대하지 않았던 세계를 경험했습니다.
인간 대 인간의 착취, 이기적인 자본주의와 같은
인류의 퇴보.

총과 같은 무기 없이,
오직 가치로운 문화만으로 무장하여,
우리들은 이 싸움에 기꺼이 뛰어들었습니다.

유린.
조종.
감금.
공허.

얼굴을 맞댄 지배자는 염치없이 지배하고,
양심을 거래하고 씹고 짓밟은채,
자유 그 자체로 태어난 인간을 가두었다.
피부색으로 나뉜 인간의 우월과 열등.
우린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되었다.

“I was born somewhere in this world. Are you listening to me?
I have come from somewhere filled with happiness, hospitality, and love. ”

We have experienced another world, a world we have never expected.
Human-to-human exploitation, selfish capitalism,
Degeneration of humanism.

Without arms like guns,
Armed with only valuable culture,
We jumped into this battle.

Back to the face, the ruler will rule without hesitation,
Trading a conscience, chewing and trampling,
Freedom itself has confined a human being born.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human-being divided into skin color.
We became nothing.

Title

데게베 Degesbe
(무엇을 찾고 있는가, 거기엔 아무 것도 없어)

History

2018. 2. FIDO festival, Burkina Faso
2018. 2. In-out dance festival, Burkina Faso
2017. 11. Post theater, Korea
2017. 5. Masan Global dance festival, Korea
2016. 9. Daegu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Korea
2016. 5. Premier, Masan 315 art center, Korea

우리는 모두 같은 인간입니다.

흰색이 없으면, 검은색을 볼 수 없고

검은색이 없으면, 노란색도 없는 거예요.

부르키나파소의 안무가 엠마누엘 사누(Emmanuel Sanou)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의 경험들, 특히 한국에서 겪었던 일들 모두를 대상으로 삼아 작품으로 만들었다. 제목 ‘데게베’는 엠마누엘의 민족어 ‘보보어’로 “무엇을 찾고 있는가? 거기에는 아무것도 없다.”라는 뜻이다. 피부색이라는 구분. 구분은 차별을 합리화했다. 새로운 시대에서는 다름보다 같음, 인간성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Credit

Choreographer : Emmanuel Sanou
Dancer : Emmanuel Sanou, Yongil Park (Duo, 2016-2017), Kwonkeum Ko(Trio, 2017-2018)
Chaeyoon Cho, Jinsol Lee, Sunny Park, Songa Lee(Theater version, 2017)
Musician : Amidou Balani (2016), Diakaria Diabate(2018)
Videographer : Jongkwan Paik
Light Designer : Yujin Lee (2017, theater version)
Producer : Soyoung Son
Production : Kounadia
Support : Seoul Art Foundation

Leave a Reply